레이블이 스피드퀴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스피드퀴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03-21

수업 놀이 - 친구 칭찬하기 활동(국어, 셀프 스피드 퀴즈 활용)


올해 하루에 한 시간은 수업 시간에 놀이를 활용한 활동을 하기 위해 노력중이다. 그러기 위해 학년초에 연수도 듣고 관련 자료 검색도 꾸준히 하고 있다. 연수에서 배운 놀이 형태 중 '셀프 스피드 퀴즈'라는 놀이가 있었다. 


5학년 1학기 국어 내용 중 친구를 칭찬하기 활동에서 셀프 스피드 퀴즈를 활용한 놀이 수업을 진행해봤다.



셀프 스피드 퀴즈 개요


셀프 스피드 퀴즈는 기존 스피드 퀴즈의 단점을 보완한 놀이 형태이다.
기존 스피드 퀴즈는 모둠 단위로 진행되어 한 모둠이 활동할 때 다른 모둠은 구경만 하고 있어야 해서 실제로 활동하는 시간이 적다는 단점이 있었다. 셀프 스피드 퀴즈는 각 모둠에서 동시에 퀴즈를 풀고 맞히는 활동이 전개되기 때문에 학생들의 실제 활동 시간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셀프 스피드 퀴즈 준비


셀프 스피드 퀴즈의 준비물은 A4 용지이다. A4 용지를 8등분 하고, 각 칸에 학생들이 문제를 낼만한 단어를 적어주면 된다. 과목에 따라, 내용에 따라 문제 종류는 8문제, 16문제, 24문제 등 다양하게 낼 수 있다. 문제의 수는 학생 인원 수의 5배 ~ 6배 정도로 준비한다. 학생이 20명이면 100장에서 120장 정도 문제지가 필요하다. A4 용지 한 장에 8문제이기 때문에 13장에서 15장 정도를 준비해야 한다.



나는 친구 칭찬하기 활동으로 셀프 스피드 퀴즈를 준비했기 때문에, A4 용지에 문제로 우리반 학생들의 이름만 써주었다. 우리반이 22명이라서 한 사람당 이름을 5번씩 써줘서 총 110장의 문제지를 만들었다.



셀프 스피드 퀴즈 하는 방법

  1. 모둠배치로 학생들 책상을 배치한다.

  2. 모둠에서 각자 순서를 정한다.

  3. 교실 가운데 책상을 하나 두고 그 위에 문제지를 담은 바구니와 빈 바구니를 올려둔다.

  4. 놀이가 시작되면 1번부터 교실 가운데 책상 위 바구니에 담긴 문제를 하나 가져간다.

  5. 문제지에 써 있는 우리반 학생의 이름을 보고 그 학생을 칭찬한다.

  6. 모둠원이 내가 한 칭찬을 듣고 문제를 맞히면 문제지를 모둠에서 보관한다.

  7. 만약, 문제지에 써 있는 학생을 칭찬하기 어렵다면 다시 교실 가운데 책상으로 가서 빈 바구니에 문제지를 넣고, 문제지 바구니에서 새로운 문제지를 하나 꺼내온다.

  8. 1번이 끝나면 2번, 2번이 끝나면 3번, 3번이 끝나면 4번, 다시 1번 순서로 반복한다.

  9. 교실 가운데 책상 위 바구니에 담긴 문제가 모두 사라질 때까지 진행한다.

  10. 각 모둠별로 가진 문제지의 수를 세고 가장 많은 문제지를 가진 모둠을 칭찬한다.



약간의 문제들


학생들에게 문제지에 써 있는 학생을 칭찬하게 하는게 목표였는데, 학생들이 문제 정답 맞히기에 너무 몰두했는지 해당 학생에 대한 칭찬보다는 학생의 외모를 묘사하거나, 특징을 묘사하거나, 포인팅하는 모습이 많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저기 노란옷 입은 애", "전학온 애", "(손가락질 하며) 쟤쟤" 하는 것처럼 학생을 설명하고 있었다.

그래서 두 번째 할 때는 학생들에게 단순한 설명이 아니고 확실히 칭찬을 하라고 신신당부를 하고 진행해야 했다. 물론 그럼에도 잘 되지 않았다는게 함정이다.



셀프 스피드 퀴즈 모습


그럼에도 학생들은 이 활동을 통해 아직 익히지 못한 우리반 친구들의 이름과 그 학생의 특징, 칭찬할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뜨는 시간 없이 밀도 있게 모든 학생이 참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셀프 스피드 퀴즈' 활동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마지막으로 이건 '셀프 스피드퀴즈' 활동 영상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