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상담인 게시물 표시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없는 학교에서 도움 받을 수 있는 교육복지 관련 기관 4곳 정리

서울의 초등학교 중 저소득층이나 다문화 같이 어려운 환경에 처한 학생이 많은 곳에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라는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파견되어 있다. 지역사회교육전문가는 학교에서 교육과 관련된 복지업무를 하게 된다. 저소득층 가정에게는 경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주거나, 학교 부적응이나 ADHD를 겪는 학생에게는 전문적인 상담서비스를 받게 해주거나, 위기 가정에 도움을 주거나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역사회교육전문가가 없는 학교는 이와 같은 역할을 모두 담임교사가 해야 한다. 초등교사는 복지쪽으로는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사실상 어렵다고 볼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가 없는 학교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교육복지 관련 기관들로 어떤 곳들이 있는지 관련 기관 4곳에 대해 정리 해본다. 지역사회교육전문가 없는 학교에서 도움 받을 수 있는 기관 1. 자치구별 교육복지센터 우선 서울을 기준으로 각 자치구별로 마련되어 있는 교육복지센터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교육복지센터는 교육지원청에서 운영하는 기관으로 학생 사례 관리, 심리검사 지원, 멘토링 지원, 경제적 지원, 진로 활동 등을 지원한다. 일상생활과 학교생활, 정신건강, 관계맺기에 문제가 있는 학생들을 찾아 지원해주는 역할을 한다. 교육복지센터 사업                             2. 학교 주변 종합사회복지관 우리나라에는 사설 복지관들도 많다. 사회복지관에서 노인 관련 프로그램만 운영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회복지관에서는 어린이나 청소년 관련 프로그램도 많이 하고 있다. 학습지도부터 부모 교육, 아동 발달 지원을 위한 미술 / 언어 / 음악 / 놀이 치료 프로그램도 일반 병원 대비 절반 정도의 가격에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래도 아동이나 교육 관련 전문 기관이 아닌 '종합'기관이다보니 다른 기관 대비 전문성이나 적합성이 다소 떨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