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미술활동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미술활동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04-23

미술 시간 그림 제대로 안 그리는 학생 지도법(ft. 변신책 만들기)

 

미술 시간에 변신 책 만들기를 했다. 변신 책이라고 표현하긴 했는데, 펴는 방식에 따라 페이지 4개가 나오는 신비한 책이다. 5학년 정도면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는데 도화지를 접고 자르고 다시 접어서 책을 만드는 데 한 시간이 걸렸다(시간이 남을 것 같아서 추가 활동을 준비했다는 게 함정). 


힘들게 책을 만들고 다음 한 시간은 만든 책에 주제에 맞는 그림 4개를 그리는 시간이었다. 계절을 대상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을 한 페이지씩 그리는 학생도 있었고, 자신이 좋아하는 게임에 나오는 캐릭터 4가지를 하나씩 그리는 친구도 있었고, 그리지 말라고 했지만 기여코 4컷 만화를 그리는 친구도 있었다. 그러던 중 한 학생이 똑같은 모습의 졸라맨만 4개 그려놓고 다른 친구와 떠들고 있는 모습이 보였다. 미술 시간에 항상 등장하는 대충대충 스타일의 학생이다.


이 학생들은 미술에 관심이 없다. 그리라고 해도 대충 그리고 다 했다고 가지고 온다. 시간을 줘도 10분이면 다 했다고 말을 한다. 가서 해 놓은 걸 보면 색칠도 제대로 안 되어 있고 밑그림도 공을 들이지 않은 흔적이 역력하다. 사람을 그리라면 오직 졸라맨밖에 그리지 못하고, 나무를 그리라고 하면 유치원생 난화기 수준의 나무를 그려 놓는다. 잘 하는 것을 바라는 게 아닌데, 그저 노력하는 모습만 보여줘도 참 예쁠텐데 이 부류의 학생들은 미술 작품 완성에 공을 들이지 않는다.



이 학생으로 인해 결국 난 화가 났고, 약간 화가 난 목소리로 학생을 지도했다. 미술 시간에는 시각적 표현능력을 기르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그런 의미에서 네가 그린 졸라맨 그림은 미술 시간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주제 의식도 없고 표현도 제대로 되지 않았다. 더 노력해서 자세히, 구체적으로 그려야 한다고 지도했다. 그럼에도 학생은 들은둥 마는둥 하면서 졸라맨의 팔과 다리에 손가락과 발가락을 그려놓고는 여전히 딴짓을 하기 시작했다. 어떻게 할까 고민하다가 뭐라도 시켜야 할 것 같아서 따라 그리기 활동을 시켰다.



따라 그리기

따라 그리기 활동은 미술에 관심이 없고 대충 하는 학생한테 뭐라도 보여주면서 똑같이 따라 그려오라고 지도하는 것이다. 오늘은 카카오 프렌즈 중 라이언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똑같이 따라 그리고 색칠까지 해서 검사 받으라고 지시했다.




어려운 그림보다는 쉬운 캐릭터(카카오 프렌즈, 라인 프렌즈)라도 따라 그리게 하고 검사하는 게 핵심이다. 반드시 검사를 해야 한다. 검사할 때 조금만 잘 그려와도 폭풍 칭찬을 해주는 게 포인트다. 수업에 제대로 참여하지 않는 학생이 밉고 얄미워도 현행 교육법과 사회 분위기에서는 우쭈쭈해주는 방식으로 지도할 수밖에 없다. 


못한다고 혼내고 야단치는 훈육은 2024년 학교에서는 효율적이지 않다는 게 개인적인 생각이다. 학생들이 어린이집, 유치원 등 어린 시절부터 지내왔던 기관에서 이런 훈육 방식에 노출이 안되었기 때문에 학교에서 교사가 화내고 야단쳐도 그게 자신을 위해 지도하는 과정이라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다. 그냥 '이 사람 왜 이래?', '왜 나한테 화내?' 정도의 생각만 가능할 뿐이다. 자칫 잘못하다가는 아동학대로 엮일 수도 있으니 내 밥그릇을 내놓을만한 위험한 지도 방식은 사용하지 않는 게 현명할 것이다.


그럼에도 힘을 주는 건 아래 작품을 그린 학생처럼 열심히 하는 학생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학생들만 데리고 수업하면 참 좋을 것 같지만, 이런 학생들만 모아놓아도 이중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학생이 또 생긴다. 진리의 20 : 80 법칙이다. 못 하는 학생보다는 잘 하는 학생에 초점을 두고, 그 학생들을 더 많이 칭찬하고 격려하면 좋은 학급이 된다고 한다. 칭찬이 인색한 내가 귀담아 들어야 할 좋은 방향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2023-08-14

5학년 미술 수업 활동 내용 추천


곰돌이 선생님은 예체능에 적성이 부족한 교사다. 중고등학교 때 주지교과에서 받은 우수한 성적은 예체능에서 전부 까먹었었다. 그래서인지 매년 미술을 지도할 때마다 무엇을 할지 고민하게 된다. 내년부터는 이러한 고민을 조금이라도 줄여보기 위해 지난 1학기 동안 학급에서 했었던 미술 활동들에 대해서 정리해본다.



5학년 미술 활동 추천

1. 조형요소 살려서 점토 작품 만들기

5학년 미술에 나오는 조형요소와 관련된 학습이다. 점토를 나눠주고 조형요소를 살려서 표현하기를 수업했다. 학생들은 강조, 동세, 율동, 반복 등 다양한 조형요소를 활용해 작품을 완성했다.







2. 명화 다르게 표현하기

감상에 이은 표현 활동으로 수업한 명화 다르게 표현하기 활동이다. 태블릿을 활용해 구글 아트앤컬쳐 어플을 설치하고 명화를 찾아 감상한 후,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살려 명화를 재구성 하는 활동이었다. 가장 인기가 좋은 작품은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에'였다. 이외에도 베르메르의 '진주귀걸이를 한 소녀'를 선택한 학생도 있었고 일본의 우키요에 작품 중 하나를 선택한 학생도 있었다. 참고로 이 학생은 미술에 재능이 있는 학생이다.

명화 재해석 하기(고흐 별이 빛나는 밤에)


명화 재해석 하기(고흐 별이 빛나는 밤에)2

명화 재해석 하기(고흐 방)

명화 재해석 하기3(고흐 별이 빛나는 밤에)

명화 재해석 하기(우키요에)

명화 재해석 하기(진주귀걸이를 한 소녀)



3. 젠탱클 연습

조형요소를 연습하기 위해 젠탱글을 활용한 수업을 하기도 했다. 선의 반복을 통해 율동과 리듬을 표현해보게 했다. 색깔을 사용해서 활동한 학생도 있었다.

젠탱글 연습

젠탱글 연습2



4. 신상품 디자인하기

세상에 없는 새로운 신상품을 디자인하는 활동을 해보기도 했다. 대부분 첨단 과학 기술을 활용해도 만들 수 있을지 의문 시 되는 물건들을 디자인했지만, 나름 괜찮은 아이디어를 생각해낸 작품도 꽤 있었다. 점자 과자와 음료, 글자를 점자로 바꿔주는 기계, 먹을 수 있는 커피믹스 포장지 등은 괜찮은 아이디어라는 생각이 들었다.

초등학생 신상품 디자인하기

초등학생 신상품 디자인하기2

초등학생 신상품 디자인하기3

초등학생 신상품 디자인하기4



5. 인권 포스터 그리기

사회와 연계해서 수업한 인권 포스터 만들기 수업도 있다. 5학년 1학기 사회 2단원에서 인권과 법에 대해 공부했는데 인권의 소중함과 가치를 포스터로 그려보는 활동이었다. 참고 작품을 많이 보여줬는데 참고 작품과 비슷하게 한 학생도 있는 반면, 더 나은 아이디어를 생각해낸 학생도 많았다.


초등학생 인권 포스터1

초등학생 인권 포스터2

초등학생 인권 포스터3

초등학생 인권 포스터4

초등학생 인권 포스터5



6. 버킷리스트 만들기

학생들의 버킷리스트를 책으로 만들어보는 활동도 해보았다. 창체 진로교육 시간과 연계해서 진행한 활동이었다. 학생들의 버킷리스트에서는 여행, 먹기, 돈벌기, 비싼 물건 사기 등의 내용이 주로 언급되었다.

버킷리스트 책 만들기

버킷리스트 책 만들기2

버킷리스트 책 만들기3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