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국어수업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국어수업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07-24

5학년 국어 수업 - 고민 상담소(보이는 라디오) 수업 후기

 

5학년 국어 1단원에 친구의 고민을 듣고 조언을 해주는 차시가 있다. 이 수업 내용을 라디오 DJ가 방송을 하는 형태로 바꿔서 수업을 해봤다. 수업 후기를 남겨본다.


고민 상담소, 보이는 라디오 수업 - 수업 과정

국어책에서도 고민 상담소를 운영해보라고 자료를 준비해줬다. 이 자료를 뜯어서 사용해도 되고, 별도의 학습지로 진행해도 된다. 보이는 라디오 수업 진행 순서는 이렇다.

  • 자신의 고민 쓰기
  • 교사가 고민을 걷어서 무작위로 나눠주기
  • 받은 고민에 대해 조언과 추천곡 써주기
  • 한 명씩 나와서 라디오 DJ가 되어 사연을 읽는 방식으로 발표하기


고민 상담소, 보이는 라디오 수업 - 후기

국어책에 나오는 고민 상담소는 모둠으로 구성해서 조언을 해주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내가 진행한 보이는 라디오 수업은 모둠이 아닌 개인이 조언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그러나 이건 실수였다. 내가 학생들을 너무 믿었나보다. 한 줄 조언이 범람했고, 공감은 없고 단순 지시만 있는 조언이 많았다. 정말 정성들여서 공감과 상대의 입장에서 상황을 이해하려는 멋진 조언도 많았지만 절반 이상은 부모님의 잔소리, 친구의 영혼 없는 이야기, 교과서에 나오는 안 좋은 예시와 같았다. 교과서에서 모둠으로 활동을 제시한 이유가 있었다. 그나마 모둠이었다면, 멋진 조언을 남겼던 친구들이 다른 친구의 고민에도 적절히 개입해서 조금이라도 더 나은 조언이 나왔을 수 있었을 것이다. 

다음에 또 이 수업을 하게 된다면, 그때는 반드시 모둠을 지정해서 모둠에서 여러 사연에 대한 조언을 힘을 합쳐서 하게끔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혼자 썼음에도 유니콘 같은 조언을 남겨준, 4~5명의 학생들이 정말 고마웠다. 한 명은 축구 실력이 잘 늘지 않아서 걱정이라는 친구에게 지금 성장하고 있지만 스스로의 관점에서는 이 성장이 보이지 않아 힘든 것이라며 포기하지 말고 계속 나아갈 것을 유정석의 질풍가도 노래를 추천해주며 조언해줬다. 조언의 내용과 표현, 추천곡까지 완벽해서 나도 모르게 가슴이 울컥했다. 폭풍 칭찬을 해주며 조언의 정석이라고 학생들에게 소개했다.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데 고백을 망설이는 고민에 대해서는 한 학생이 두려워하지 말고 용기를 가지고 고백을 해보라고 조언해줬다. 자신은 10번도 넘게 차여봤지만, 그럼에도 용기내지 않으면 아무 것도 이룰 수 없다는 말도 덧붙였다. 학생들이 빵 터졌음은 물론이다(본인의 아픈 경험을 이야기하는데 웃으면 안된다고 학생들을 지도했으나 나도 웃을 수밖에 없었다). 


수업은 다소 망했지만, 그럼에도 학생들의 진솔한 고민과 자기들만의 해결법을 들을 수 있어서 좋은 시간이었다. 힘내라 애들아.







2023-04-06

경험을 살려 시 읽기 - 동시집 활용해 수업하기(ft. 팝콘 교실)

오늘 정리할 수업은 5학년 1학기 국어-가에 나오는 경험을 살려 시 읽기 수업이다. 교과서에는 '출렁출렁'이라는 시와 '허리 밟기'라는 시조 형식의 시가 실려있다. 두 시 모두 좋은 시라고 생각하지만 요즘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 일으키기에는 시의 내용이나 비유가 그리 효과적이지는 않다.


그래서 학생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시를 찾아보았다. 찾다가 팝콘 교실이라는 동시집을 발견했는데 이 동시집에 나오는 시 중 학생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시를 골라 국어 시 수업에 활용해보았다. 


우선은 교과서 내용대로 '출렁출렁'과 '허리밟기' 진도를 나갔다.

보고 싶은 사람, 하고 싶은 것들을 빨리 보거나 하고 싶었던 적이 있었는지 묻고 출렁출렁 시를 읽고 활동해봤다. 학생들은 주로 누구를 빨리 보고 싶다는 내용보다 빨리 어디에 가거나 빨리 무언가를 하고 싶다는 내용의 발표가 더 많았다.


허리밟기는 조부모와 함께 생활하는 아이들의 공감도가 확실히 더 높았다. 전날에도 할머니에게 안마를 해줬다는 학생도 있었고, 실제로 부모님의 허리를 밟아 봤다는 학생도 더러 있었다. 확실히 경험한 일에 대한 글을 읽으면 글이 더 실감나고 이해도 쉽다는 교과서 내용이 맞다. 


이 내용은 2차시 분량이다. 출렁출렁을 한 차시에 끝내고, 다음 시간에 허리밟기를 빨리 나감과 동시에 동시집에 있는 시 읽기를 진행했다. 시를 출력해서 교실 이곳 저곳에 붙여놓고 학생들에게 포스트잇을 두 장씩 주었다.


포스트잇에는 시를 돌아다니면서 다 읽고, 자신이 경험했던 내용이 있는 시를 골라 경험한 내용과 시에 대한 감상을 쓰라고 했다(후에 쓴걸 보니 감상은 없고 전부 자신의 경험뿐이었다는게 함정 ㅠ). 학생들은 생각보다 시를 빨리 읽었고 글도 빨리 썼다. 


활동이 끝나고 시를 다 떼어 실물화상기를 통해 학생들이 쓴 포스트잇 내용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이 가장 사랑한?! 시는 '모기'였다. 역시나 여름날 모기에 당해보지 않은 학생은 없었던 것이었다.

반면 가장 인기가 저조했던 시는 짝사랑이었다. 나는 굉장히 공감했는데 아직 5학년 학생들이 공감하기에는 다소 이른듯 싶다. 내가 다시 한 번 읽어주었으나 역시나 공감하지 못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