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아이스브레이킹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아이스브레이킹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03-21

협동심과 학급응집력을 높이는 학기초 협력놀이 - 풍선 띄우기

 

아직 학년초라서 친교놀이를 주당 한 시간씩 창체 시간에 운영하고 있다. 학생들이 3월 2일에 비해 많이 친해지긴 했으나, 여전히 서로 이름을 모르는 사이도 있다. 적어도 3월 한 달이라도 일주일에 한 번은 아이스 브레이킹을 목적으로 친교놀이를 하면 학생들의 교우관계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이번에 해본 학기초 놀이는 협력을 주제로 한 놀이이다. 풍선만 있으면 할 수 있는 풍선 띄우기 협력놀이이다. 놀이의 목표는 간단하다. 모둠원끼리 둥그렇게 모여 앉아 손을 잡고, 그 상태로 풍선을 많이 튕기면 이기는 놀이이다. 그리고 이 간단한 놀이를 통해 학생들의 협력과 학급응집력을 높일 수 있다.


풍선 띄우기 협력놀이 규칙

  1. 의자에 앉아 있는 상태로 진행한다. 엉덩이가 의자에서 떨어지면 안된다.  

  2. 모둠원의 손을 놓치면 안된다.

  3. 풍선이 허리 아래로 내려오면 안된다.



풍선 띄우기 협력놀이 하는 방법

  1. 4~5명 정도의 학생들을 한 모둠으로 만들어준다.

  2. 학생들에게 모둠별 기록을 재고 모둠별로 보상을 할 것이라 안내한다.

  3. 각 모둠별로 연습시간을 3분 ~ 5분 정도 준다.

  4. 연습 시간이 끝나면 모둠별로 기록을 잰다.

  5. 가장 많이 성공한 모둠을 골라 칭찬한다.


여기까지가 1라운드다. 2라운드는 똑같이 진행하는데, 이번에는 모둠별 경쟁 형식이 아니라 모둠간 협력 형식으로 진행한다. 각 모둠에서 성공한 개수를 모두 더해 일정 개수가 넘으면 성공하는 것이다.

  6. 이번에는 연습시간을 1분~2분만 준다.

  7. 연습 시간이 끝나면 모둠별로 기록을 잰 후 모두 더해 원래 목표와 비교한다.



풍선 띄우기 협력놀이 포인트

놀이를 하다보면 학생들의 반응이 극명하게 갈리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모둠별로 경쟁을 해야 하는 1라운드에서는 학생들이 다른 모둠에서 반칙을 썼는지 안 썼는지 눈에 불을켜고 찾는다. 누가 엉덩이를 땠다는 둥, 손을 놓쳤다는 둥 민원성 제보가 끊이지 않는다. 시끄럽게 해서 집중력을 흩트리기도 한다.


반면 2라운드에서 학급 전체 목표 달성으로 기준이 바뀌었을 경우에는 다른 모습이 펼쳐진다. 다른 모둠에서 기록이 올라갈수록 박수를 치며 환호하는 모습을 보인다. 어느정도 반칙도 눈감아주기 시작한다. 그러다가 약속했던 목표를 돌파했을 때 모든 학생들이 박수를 치며 환호한다. 


대개 1라운드보다 2라운드의 기록이 더 좋은 경우가 많다. 풍선 띄우기 놀이는 학기초 학생들이 협력과 단결의 가치를 키우고 학급응집력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이다.



풍선 띄우기 협력놀이 활동 모습






2023-03-08

3월 학년 초 이름외우기 놀이 - 너의 이름은, 이름 조합 퍼즐


3월 첫 주는 학생들끼리 서로 친해지고 이해하는 걸 돕기 위해 하루에 한 시간 정도는 아이스 브레이킹 활동을 하고 있다. 오늘 한 활동은 재미있게 학급 친구들의 이름을 외울 수 있는 놀이 두 가지이다. 하나는 '너의 이름은'이라는 놀이이고, 다른 하나는 '이름 조합 퍼즐'이라는 놀이이다. 두 놀이로 한 시간 활동을 계획할 수 있다.



'이름 조합 퍼즐' 놀이하는 방법


이 놀이의 규칙은 간단하다.

학생을 4명 ~ 6명으로 모둠을 지어주고 각 모둠원의 이름을 구성하는 글자를 조합하여 국어사전에 나오는 단어를 최대한 많이 만들면 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만약 우리 모둠에 홍길동, 뉴진스, 아이유, 유재석이 모였다면 뉴스, 아이, 진동, 석유, 이유, 이석과 같이 단어를 찾아내는 것이다. 

놀이 운영의 팁은 학기 초에 출석번호 순서대로 자리가 배치된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근처에 있는 학생들끼리 모둠을 지어주면 성이 같아서(김씨만 4명) 단어를 만들기 어려울 수 있으니 성이 다른 학생들을 적절히 섞어주는게 좋다. 단어를 찾는 시간은 5분 정도가 적당하다. 

놀이를 해보니 구성원이 5명인 모둠은 평균 10~12개, 구성원이 6명인 모둠은 15~16개의 단어를 만들었다. 학생들이 활동하는 모습을 보니 서로 이름을 물어보고 써보고 하면서 이름을 외우는데 도움을 주는 듯 싶었다.










'너의 이름은' 놀이 하는 방법


앞선 활동이었던 이름 조합 퍼즐이 다소 정적인 놀이라면, 너의 이름은은 동적인 놀이다. 이 놀이는 우선 준비물이 하나 필요하다. 시선을 가릴 수 있는 불투명한 긴 천이다. 대충 은색 돗자리 정도 크기면 충분하고 실제로 돗자리를 쓰는게 가장 편하다.

우선 학생들을 두 팀으로 나눈다. 그리고 도우미 두 명을 모집한다. 도우미의 역할은 팀과 팀 사이의 가운데 지점에서 은색 돗자리를 들어 서로가 서로를 볼 수 없게 하는 것이다. 각 팀은 대표 선수를 한 명씩 돗자리 앞에 세운다. 그리고 하나, 둘, 셋을 외치고 돗자리를 내린다. 대표 선수들은 서로를 확인하고 상대의 이름을 먼저 말하는 학생이 승리한다. 진 학생은 상대팀으로 넘어가게 되고, 10~15분 정도 진행한 후 더 많은 학생이 남아있는 팀이 승리하는 놀이이다. 한 번 했던 학생도 계속 참여할 수 있다.

학생들이 활동하는 모습을 보면 생각지도 못한 지점에서 웃음 포인트가 터진다. 상대 이름을 틀리게 말해놓고 이겼다고 기세등등한 모습을 보이는 학생부터, 혀가 꼬여서 이상한 발음으로 상대 이름을 말하는 학생, 다른 친구의 이름과 착각하여 말하는 학생까지 여러가지로 큰 웃음을 선사한다. 웃으면서 친구들의 이름을 익힐 수 있는 활동이라 학생 이름 외우기 활동으로 강력 추천하고 싶다.



2023-03-07

3월 학년 초 아이스 브레이킹 놀이 - 친구를 찾아라


새학년이 시작되는 3월의 학년 초는 전국의 담임교사들에게 언제나 부담되는 시즌이다. 새로운 학생과 새로운 학부모, 새로운 동료교사와 서로 합을 맞추고 적응해나가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학생, 학부모, 동료교사 중 특히 학생과 합을 맞추는 게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교사는 학교에서 학생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수업을 담임교사가 하는 시스템인 초등학교 교사라면 더더욱 그렇다. 

이런 이유로 초등학교 담임선생님들은 학년 초에 다양한 아이스 브레이킹 활동을 하고 있다. 아이스 브레이킹이란 처음 만난 어색함을 얼음으로 비유한 표현으로 서로의 어색함을 깰수있게 도와주는 활동이다. 나도 올해 담임을 맡으면서 여러 가지 아이스 브레이킹 활동을 했다.

오늘 소개할 아이스 브레이킹 놀이는 '친구를 찾아라'이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