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렘과 걱정. 교사에게 3월을 표현하라고 하면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들 중 하나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김없이 올해도 3월 개학이 찾아왔다. 아마 교사에게 가장 힘든 날을 꼽으라고 하면 3월 2일, 새학년이 시작되는 날일 것이다. 두 달에 가까운 겨울방학이 끝나는 날이기도 하고 새로 맞이하게 될 1년간의 대장정 시작이 도저히 엄두가 안 나기 때문이다. 멈춰있는 수레바퀴를 다시 굴리려면 큰 힘이 필요하다. 나는 교사의 개학 역시 이와 같다고 본다. 방학으로 멈춰있던 학교를 돌리려면 이처럼 큰 힘이 필요하다. 학생 지도면에서든, 학교 행정일에서든 3월은 멈춰있는 바퀴를 움직여야하기 때문에 다른 시기보다 유독 힘들다. 멈춰 있는 수레바퀴를 움직여라!! - 3월의 미션 설렘과 걱정 중 설렘이 앞서는 교사가 있고, 두려움이 앞서는 교사가 있다. 나는 후자이다. 어떤 학생을 만나게 될지 기대도 되지만 어떤 학생을 만나게 될지 걱정이 더 앞선다. 제발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학생이 우리반이 되었기를, 진상 학부모가 우리반 학부모가 아니기를, 나와 그나마 궁합이 잘 맞는 학생들이 많이 있기를, 나의 학급 운영을 긍정적으로 봐줄 수 있는 학부모가 많이 있기를 바라면서 새학년을 맞이한다. 다행히 아직까지는 나의 걱정과 우려가 크게 발현된 적은 없었다. 그러나 매년 살얼음판을 걷는 느낌은 변하지 않는다. 오히려 과거에 비해 살얼음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고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가뜩이나 부족한 설렘이 점점 더 걱정에게 자리를 내주고 있다. 다른 선생님의 마음도 나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올해는 근무하는 학교에서 맞는 마지막 해다. 학교의 시스템을 잘 알고 아는 선생님들도 많아서 학교 생활에 어려움은 없다. 업무도 희망했던 작년 업무를 그대로 가지고 와서 만족하고 있다. 어떻게 보면 학급 운영에 온전히 힘을 쏟을 수 있는 환경은 조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학년도 대부분 선생님들이 최고로 치는 4학년이다. 개인적으로는 11년만에 맞이하는 4학년 담임이고...
현직 초등학교 교사가 운영하는 수업 자료, 수업 방법, 연수 내용, 교육에 대한 생각 등이 담긴 공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