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협력놀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협력놀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07-12

초등 사회 정리 활동 놀이 추천 - 문제 사냥놀이(암기에 좋음)

5학년 1학기 사회 1단원은 지리 관련 내용을 배운다.
문제는 배경지식이 부족한 학생의 경우 처음 듣는 개념으로 도배되어 있다는 것이다. 모르는 내용이 많으니 재미가 없고, 재미가 없으니 수업에 집중하지 않는다. 수업에 집중하지 않으니 공부를 해도 내용 이해를 하지 못하는 악순환이 벌어진다.

놀이를 활용하면 학생들이 가진 부정적인 감정을 조금이나마 긍정적인 감정으로 돌릴 수 있다. 문제 사냥놀이도 같은 목적에서 사용하기 좋은 놀이다.

준비물

놀이 활동을 위한 준비물은 문제와 정답이 적힌 카드 16~20개 정도이다.
문제 및 답지를 모둠의 개수대로 출력한다. 교사의 시간이 허용된다면 잘라서 나눠주고, 그렇지 못하다면 학생들에게 자르라고 시켜도 된다.



놀이 방법

모둠별로 16개 ~ 20개의 문제 카드를 가진 상태로 시작한다.

  1. 놀이가 시작되기 전에 3분 정도 문제에 대해 공부할 시간을 준다.
  2. 놀이가 시작되면 한 장씩 쪽지를 들고 다른 모둠의 학생을 만나 가위바위보를 한다.
  3. 가위바위보에 진 사람이 자신이 가진 문제를 출제한다.
  4. 가위바위보에 이긴 사람은 문제를 듣고 맞힌다. 문제를 맞히면 문제 카드를 받는다.
  5. 문제를 맞히지 못하면, 가위바위보에 이긴 사람이 문제를 낸다. 마찬가지로 상대가 문제를 맞히면 문제 카드를 준다.
  6. 획득한 문제 카드를 자신의 모둠에 갖다 놓는다. 문제 카드를 잃은 학생은 모둠에 가서 문제 카드를 다시 가져와 활동한다.
  7. 일정 시간이 지나고 가장 많은 문제 카드를 모은 모둠이 승리한다.


놀이 모습와 유의점

시작하면 학생들이 초집중해서 카드를 모으기 위해 돌아다닌다. 
일부러 만남을 피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반칙이라며 경고해야 한다. 놀이는 규칙 속에서 이루어질 때만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규칙에 대한 강조는 언제나 옳다.

학생들이 자신이 모은 카드를 모둠에 갖다 놓지 않는 일이 잦은데 꼭 갖다놓도록 안내해야 한다. 자기 모둠에 카드가 있음에도 카드가 없다고 생각해 교사에게 와서 카드를 빌려달라고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놀이의 효과

놀이를 10분 정도만해도 최소한 위에 나온 단어들 정도는 머릿속에 기억할 수 있게 된다.
문제 사냥놀이는 외워야 할게 많은 단원과 내용을 배울 때 사용하기 좋은 놀이이다.



2023-03-21

협동심과 학급응집력을 높이는 학기초 협력놀이 - 풍선 띄우기

 

아직 학년초라서 친교놀이를 주당 한 시간씩 창체 시간에 운영하고 있다. 학생들이 3월 2일에 비해 많이 친해지긴 했으나, 여전히 서로 이름을 모르는 사이도 있다. 적어도 3월 한 달이라도 일주일에 한 번은 아이스 브레이킹을 목적으로 친교놀이를 하면 학생들의 교우관계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이번에 해본 학기초 놀이는 협력을 주제로 한 놀이이다. 풍선만 있으면 할 수 있는 풍선 띄우기 협력놀이이다. 놀이의 목표는 간단하다. 모둠원끼리 둥그렇게 모여 앉아 손을 잡고, 그 상태로 풍선을 많이 튕기면 이기는 놀이이다. 그리고 이 간단한 놀이를 통해 학생들의 협력과 학급응집력을 높일 수 있다.


풍선 띄우기 협력놀이 규칙

  1. 의자에 앉아 있는 상태로 진행한다. 엉덩이가 의자에서 떨어지면 안된다.  

  2. 모둠원의 손을 놓치면 안된다.

  3. 풍선이 허리 아래로 내려오면 안된다.



풍선 띄우기 협력놀이 하는 방법

  1. 4~5명 정도의 학생들을 한 모둠으로 만들어준다.

  2. 학생들에게 모둠별 기록을 재고 모둠별로 보상을 할 것이라 안내한다.

  3. 각 모둠별로 연습시간을 3분 ~ 5분 정도 준다.

  4. 연습 시간이 끝나면 모둠별로 기록을 잰다.

  5. 가장 많이 성공한 모둠을 골라 칭찬한다.


여기까지가 1라운드다. 2라운드는 똑같이 진행하는데, 이번에는 모둠별 경쟁 형식이 아니라 모둠간 협력 형식으로 진행한다. 각 모둠에서 성공한 개수를 모두 더해 일정 개수가 넘으면 성공하는 것이다.

  6. 이번에는 연습시간을 1분~2분만 준다.

  7. 연습 시간이 끝나면 모둠별로 기록을 잰 후 모두 더해 원래 목표와 비교한다.



풍선 띄우기 협력놀이 포인트

놀이를 하다보면 학생들의 반응이 극명하게 갈리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모둠별로 경쟁을 해야 하는 1라운드에서는 학생들이 다른 모둠에서 반칙을 썼는지 안 썼는지 눈에 불을켜고 찾는다. 누가 엉덩이를 땠다는 둥, 손을 놓쳤다는 둥 민원성 제보가 끊이지 않는다. 시끄럽게 해서 집중력을 흩트리기도 한다.


반면 2라운드에서 학급 전체 목표 달성으로 기준이 바뀌었을 경우에는 다른 모습이 펼쳐진다. 다른 모둠에서 기록이 올라갈수록 박수를 치며 환호하는 모습을 보인다. 어느정도 반칙도 눈감아주기 시작한다. 그러다가 약속했던 목표를 돌파했을 때 모든 학생들이 박수를 치며 환호한다. 


대개 1라운드보다 2라운드의 기록이 더 좋은 경우가 많다. 풍선 띄우기 놀이는 학기초 학생들이 협력과 단결의 가치를 키우고 학급응집력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이다.



풍선 띄우기 협력놀이 활동 모습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