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심리학에 기반하여 VIA 모형이 탄생했는데, 인간의 여러 미덕들에 대해 연구한 결과물이다. 전세계 다양한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미덕을 24가지 성격강점으로 정리했다. VIA 모형에 따른 성격강점은 아래와 같이 6개의 분야, 24개의 강점으로 구성된다.
성격강점 24가지, 출처 - 나무위키 |
5학년 1학기 국어 가에는 1단원에 친구의 장점을 찾고 칭찬해보는 수업 내용이 나온다. 학생들은 학기 초이기 때문에 같은 반 학생들의 이름도 잘 모르는 상황인데 친구를 칭찬까지 해야하니 다소 난감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이때 자신과 친구의 성격강점을 찾는 활동을 통해 친구를 칭찬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성격강점을 활용하면 해당 차시를 2차시 동안 수업할 수 있다.
성격강점 소개하기 - 1차시
우선 24가지 성격강점에 대해 소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PPT를 활용해 각 성격강점의 뜻과, 해당 성격강점을 가진 유명인을 제시한다.
교과서에서 나오는 내용은 칭찬 방법을 익히고, 성격강점 24가지까지 소개하면 한 시간 수업이 얼추 마무리 된다.
성격강점 친해지기 - 2차시
지난 시간에 배웠던 성격강점에 대해 간단하게 복습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후 성격강점 카드를 활용해서 성격강점에 대해 모둠별로 살펴볼 수 있게 한다. 성격강점카드에는 성격강점의 뜻과 활용 사례, 대표 위인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 학생들이 성격강점의 뜻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후에는 자신이 가진 성격강점을 스스로 찾아보게 하고, 다음에는 모둠원들이 자신의 성격강점을 찾아주는 활동을 진행한다. 이 활동을 통해 내가 보는 나의 모습과 타인의 보는 나의 모습을 비교해볼 수 있다. 활동 내용은 아래와 같은 학습지에 기록한다.
모둠 활동이 끝나면 전체 활동으로 자신의 강점 소개 활동을 진행한다. 모둠원 외에는 자신의 성격강점을 모르기 때문에, 반 전체 학생들에게 자신의 성격강점을 알리는게 목표다. 3분 정도 교실을 돌아다니면서 자신의 성격강점을 친구들에게 널리 알린다.
활동이 끝나면 성격강점 맞히기 릴레이 놀이를 한다. 학생 한 명이 나오고 그 학생의 성격강점을 아는 학생은 손을 든다. 성격강점을 찾은 학생이 다음 주자로 나와서 같은 방식으로 반 전체 학생의 성격강점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