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13

경제 이론 교실에 적용하기 교실에 적용하기(ft. 행동경제학, 넛지, 경매, 브랜딩, 공유 경제)


연수원에서 원격으로 경제학 이론을 교실에 적용하는 연수를 들었다. 넛지 이론, 게임 이론, 투표 방법, 공유 경제, 브랜딩 등 다양한 내용을 배울 수 있었다. 연수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해본다.




교실에서의 행동경제학 활용 방법

알랭 르두의 추측 게임

0~100까지의 숫자를 선택하는데, 다른 친구들이 선택한 숫자의 0.6배의 수를 맞히는 게임.

어떤 사안을 결정할 때, 내가 좋아하는 것이 아닌 모두가 좋아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선택지를 고려해 볼 수 있는 게임.


문항 배열순서와 시험 난이도

문항 배열 순서에 따라 같은 문제지만 성적이 달라짐. 쉬운 문제가 어려운 문제 앞에 나왔을 때 성취도가 높음.


확증편향

자신의 의견을 뒷받침해주는 정보만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현상을 확증편향이라고 함.

학생과 교사 모두 교실에서 확증편향으로 판단이 왜곡될 수 있어서 이를 막기 위해 비판적 사고력을 가르쳐야 함.





교실에서의 넛지 활용 방법

137점 만점 시험

100점 만점이 아닌 137점 만점인 시험을 내면 학생들이 시험을 조금 못봐도 기분이 좋아진다.


에코 리마인더 스티커

전기 절약을 위해 스위치 주변에 전기 절약을 알리는 스티커를 붙이면 스위치를 더 많이 꺼서 전기 절약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세균 스탬프 캠페인

손 씻기를 철저하게 하기 위해 비누칠을 30초 이상해야 지워지는 도장을 손에 찍어준다.


무지개식판

양을 조절할 수 있게 제작된 식판이다.



음식 배치 순서

야채, 채소 등 비선호 음식을 선호하는 음식 앞에 배치하면 보다 많이 먹일 수 있다.


교실에서의 투표 방법(투표 방법 4가지)

널리 쓰이는 투표 방법으로는 크게 4가지가 있다.



  • 다수 대표제: 한 표라도 많으면 당선됨(우리나라 선거).
  • 결선 투표제: 투표 후 일정 기준을 넘지 못하면, 상위 두 명의 후보만 두고 결선 투표를 함(ex. 프랑스).
  • 보르다 투표제 : 모든 후보자에게 점수 부여 후 합산함(ex. MLB MVP).
  • 즉석 결선 투표제: 최하위 득표를 받은 후보는 탈락, 1명이 남을 때까지 실시함(ex. 올림픽 개최지).

선거의 결과는 선거 기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교실에서 선거를 할 때도 기호 선정은 매우 중요하다. 교육감과 교육위원 선거 때 기호에 의해 당선과 낙선이 갈린 사례가 있다. 따라서 기호를 사용한다면 학년별, 반별 순환배열 방식으로 투표 용지를 만들어야 보다 공정한 선거를 할 수 있다. 기호에 따른 유불리를 방지하기 위해 후보자의 이름을 쓰는 자서 투표제를 사용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교실에서 나눌 수 있는 공유지의 비극 사례

공유지의 비극이란 지하자원, 초원, 공기, 바다에 있는 고기처럼 모두가 함께 사용해야 할 자원을 마구잡이로 사용해 고갈될 위험에 처해있다는 뜻을 가진 단어이다. 사헬지대는 공유지의 비극이 드러난 대표적인 사례이다.


케냐는 코끼리 사냥을 무조건 규제하는 방법을 택했지만 코끼리 수는 오히려 감소했다. 반면 짐바브웨, 보츠와나, 나미비아 같은 나라에서는 코끼리의 재산권을 인정해줌으로써 공유지의 비극을 극복했다. 스위스 퇴르벨 마을은 공동체 자치를 통해 공유지의 비극을 극복했다. 공유지의 비극을 극복할 수 있는 공통된 방법은 없고,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교실에서 공유지의 비극은 교실 청소, 공용 물품 사용, 모둠 활동 등에서 자주 발생한다.

토의나 역할극을 통해 무임승차의 상황을 느끼고 극복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교실에서의 게임 이론 적용 - 우리 교실 온풍기는 누가 설치했을까?

온풍기 설치 비용 마련을 위해 자선행사 게임을 진행한다.






교실에서의 경매 활용 사례(경매 방법 4가지)

자주 쓰이는 경매 방식에는 영국식, 네덜란드식, 비공개 입찰, 비크리 경매 4가지 방법이 있다.



영국식 경매

판매자가 최저가를 제시하고 입찰자들이 최저가로 시작한 호가를 올리면서 경쟁하는 공개경매 시스템. 가장 높은 가격을 제시한 입찰자에게 낙찰.


네덜란드식 경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꽃 시장에서 사용. 판매자가 사전에 결정된 최소단위만큼씩 판매하고 싶은 가격을 낮춰 부르면 가장 먼저 구매를 희망하는 입찰자에게 낙찰. 경매 시간이 짧아서 신선도가 중요한 제품에 사용.


비공개 입찰

국가 공매, 법원 공매 등에서 사용되는 방식. 서로 입찰가를 알 수 없음.


차고가 청구방식(비크리 경매)

입찰가를 밀봉하여 제출하고 최고 가격을 쓴 사람이 낙찰. 낙찰자 본인이 적어낸 낙찰가 아니고 두 번째로 높은 가격을 지불하게 됨.


교실에서는 명화 경매 게임과 자리 경매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경매를 느끼게 할 수 있다.

명화 경매 게임

10개의 명화를 준비하고 모둠별로 돈을 나눠준다. 모둠원과 상의하여 경매 전략을 정하고 경매에 참여한다.

경매에서 낙찰받은 명화는 그 모둠의 소유가 된다. 각 명화에는 점수가 부여되어 있는데 경매로 낙찰받은 명화의 점수를 합산해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모둠이 승리한다.



자리 경매

바둑돌을 이용해 경매에 참여하고 자리를 정하는 활동이다. 경매 결과에 따라 여러 개의 자리를 얻을 수도, 단 한자리도 얻지 못할 수도 있다.



경매에 참여하는 사람은 자신이 입찰할 바둑돌의 개수를 주먹 안에 숨기고 있다가 다 같이 공개한다. 

가장 많은 바둑돌을 가진 사람이 자리를 획득한다. 가장 많은 바둑돌을 같게 배팅한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을 제외하고 두 번째로 많은 바둑돌을 배팅한 사람이 자리를 획득한다. 

만약 경매에서 자리를 획득하지 못해도 사용한 바둑돌은 반납해야 한다.


경매 관련 보드게임

모던 아트, 포세일, 빅샷같은 보드게임을 통해 학생들이 경매를 경험할 수 있다.



학급 브랜딩

브랜드원카드 활동을 통해 카드에 소개된 다양한 브랜드를 이해하고 브랜드의 기초를 학습할 수 있다. 브랜드가 가진 색깔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우리 반의 가치 활동

학생들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치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

프스트잇에 가치를 써서 칠판에 붙이게 한다.

우리반의 핵심 가치 2가지를 정한다.



우리 반 로고와 슬로건 만들기

네이밍(키워드)카드 사용하기

키워드 카드를 사용해 우리 반의 가치와 관련된 핵심어를 찾는다.

키워드 카드를 활용해 만든 우리 반 이름을 포스트잇에 적는다.

투표를 통해 우리 반 이름을 정한다.

브랜드 색상과 글꼴이 우리 반의 가치와 어울려야 한다. 해치풀과 미리캔버스를 이용하면 좋다.

반 대표 색으로 학급 환경미화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교실에서의 공유 경제 활동 사례

무엇이든 공유해보살 프로젝트

  • 학급 필통 사용하기
  • 학급 문고 만들기
  • 학급 시장 활동하기(수익금은 기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