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텐짝찾기라는 놀이가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내가 가진 카드와 짝이 맞는 카드를 찾는 게임이다. 문제와 답이 1:1로 매칭이 되는 주제가 많은 과목과 차시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력이 좋은 놀이이기도 하다. 개인적으로는 수학이나 사회 시간에 하기 좋은 활동이라고 생각한다. 5학년 1학기 사회에 나오는 우리 국토를 구분하는 기준 수업에 탑텐짝찾기 놀이 활동을 적용해봤다. 놀이의 필요성 5학년 1학기 사회 1단원은 한국지리에 대한 내용이다. 3학년에 시군구, 4학년에 시도로 인식 범위를 넓혀온 학생들이 5학년이 되면 우리나라라는 인식 범위를 배우게 된다. 우리나라 한반도의 위치, 행정구역, 기후, 지형, 산업, 교통 등 전반적인 내용을 모두 다룬다. 이 단원만 제대로 공부하고 표나 그래프 해석 능력만 조금 길러도 수능 한국지리 40점 이상은 맞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 국토를 구분하는 기준은 이 단원에서도 특히 어려운 내용인데, 학생들이 처음 보는 단어들이 너무 많이 나오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철령관, 의림지, 조령 등 어른들도 대부분 모르는 지역을 나누는 지명부터 관동, 관서, 관북, 해서, 호남, 호서, 영남 등 책에서나 봤을 법한 전통적인 지역구분이 교과서에 단어 그대로 언급된다. 지도를 직접 그려보고 공부하지만 한 번에 익히기는 쉽지 않다. 이럴 때 내용 이해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놀이를 하면 효과적이다. 탑텐짝찾기 - 준비 이 놀이의 단점은 준비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준비 과정이 꽤나 번거롭다. 문제지를 만들어야 하고 이걸 잘라서 접어야 한다. 접는건 학생들을 시키더라도, 자르는 것 까지는 위험하니 주로 교사가 해야한다. 쪽지는 학생 1인당 4개를 가질 수 있게 준비해야 한다. 20명이라면 80개(40쌍)를, 25명이라면 100개(50쌍)의 쪽지가 필요하다. 중복되는 문제가 있어도 상관없다. 대부분 10개 내외의 문제를 만든 다음에 여러 장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탑텐짝찾기 - 쪽지 준비 쪽지를...
현직 초등학교 교사가 운영하는 수업 자료, 수업 방법, 연수 내용, 교육에 대한 생각 등이 담긴 공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