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학식은 학생에게도, 교사에게도 힘든 날이다. 따뜻한 이불 속 늦잠의 유혹을 뒤로하고 학교에 와서 공부해야하기 때문이다. 학생이나 교사나 반가움은 순간일 뿐, 끝난 방학에 대한 아쉬움이 더 큰 날이다. 학생들이 개학식 날을 싫어하는 이유는 방학 숙제에 대한 부담도 있다. 방학 숙제가 과거처럼 많지는 않지만, 그래도 해야한다는 압박감이 있어서 학생들에게는 늘 부담이 된다. 방학 숙제는 교사에게도 부담이다. 방학 숙제를 검사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어렸을 때 힘들게 방학 숙제를 해갔는데 별 반응도 없는 선생님 때문에 실망했던 기억이 있다. 학생들에게 이런 기억을 남겨주고 싶지 않아서 매번 한 명씩 나오게 한 다음에 과제를 검사하고 피드백을 줬는데, 이렇게 하니 과제 검사를 받지 않는 나머지 학생들이 떠들고 관리가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수학 문제를 풀게한 적도 있었는데 개학 첫 날부터 시험을 보는 느낌이라 학생들의 사기에 그리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올해 개학식에서는 새로운 방식을 채택해봤다. 방학 활동 과제를 발표하게 하는 활동이었다. 나는 과제 검사를 안 해서 좋고, 학생들은 자신의 과제를 다른 친구들과 공유하고 나눌 수 있어서 괜찮은 활동 같았다. 개학식날 해본 방학 과제 발표하기 활동에 대해 정리해 본다. 개학식 날 방학 과제 발표하기 활동 우리 학교 방학 숙제는 운동과 독서 기록표 작성하기 필수 과제와 10개의 선택 과제였다. 학생들은 자신이 한 방학 숙제를 들고 나와서 실물화상기로 보여주면서 자신이 방학 중 한 운동과 읽었던 책을 소개하고, 자신이 선택한 과제가 무엇인지, 과제를 어떻게 했는지 친구들에게 발표했다. 발표 처음에는 학생들이 귀찮아하고 별로 안 좋아하는 것 같았는데, 학생들이 다양한 종류의 과제를 발표하면서 보는 학생들도 관심이 조금씩 생기고 집중력이 높아지는 것 같았다. 퀄리티가 좋은 과제가 나오면 저절로 박수가 나오기도 했고, 오~라는 감탄사도 들려왔다. 여행 갔던 일을 브이로그...
현직 초등학교 교사가 운영하는 수업 자료, 수업 방법, 연수 내용, 교육에 대한 생각 등이 담긴 공간입니다.